Post

3. Delay in packet switching

Queueing and Delay

queue에서 패킷 수의 기댓값은

\[E(N) = \sum_{n=1}^{\infty} nP_n\]

이다. 여기서 P_n(n개의 고객이 있을 확률)은 다음과 같다.

\[P_n = (1 - \rho) \rho^n\]

여기서 rho는 서버의 사용률이다.

\[\rho = \frac{\lambda}{\mu} \]

Loss and Delay

Packet의 arrival rate가 output link의 capacity를 넘기는 경우.

  • Packet이 전달되는데에는 두 가지 delay가 있다.
    1. transmitted delay (패킷이 queue에서 다른곳으로 transmit될 때 어디로 갈지 정하는 delay)
    2. queueing delay(패킷이 router buffer에서 기다리는 delay)

만약 위의 delay로 인해 free buffer가 사라진다면, 패킷은 드랍됨.

드랍되면 re-transmit을 하면서 시간이 2배로 늘어남.

그렇다면 packet loss 발생 시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

  • 드랍된 packet을 re-transmit한다. (throughput이 중요한, 큰 파일 전송에 좋음)
  • 그냥 몇개 드랍한다. (delay가 작은게 중요한 drone등에서 좋음)

Priority Queue

우선순위 큐를 이용하면 packet이 drop되어도 덜 중요한게 drop될 수 있다.

  • 각 packet마다 우선순위를 미리 정해놓아도 좋고
  • 각 queue에 우선순위를 정해도 좋다.

→ 아니면 service의 퍼포먼스를 올려버리자. 가장 간단한 해결방법이다. (비싸지만 구현 난이도 감소)

→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latency를 보장할 수 없다.

(1) Admission Control

  • Process에 들어오는 요청의 수 제한 → redirect 시키거나, request 자체를 drop 시킴.

→ (이거 현재 네트워크 상황을 Application이 알 수 있나?)

(2) Overprovision hardware revision

미리 네트워크 자원을 생산.

buy more equipment!


Queueing and Delay

그래서 queueing에서 딜레이는 무엇무엇이 있을까. 물론 여기서는 packet 기준 딜레이이다.

\[d_{e2e} = d_{proc} + d_{queue} + d_{trans} + d_{prop} \]
  1. processing delay
    •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는 delay (header detaching time)
    • 어느정도 deterministic함. (예측 가능함)
    • hardware spec에 비례함.
    • ms단위임.
  2. queueing delay
    • 패킷이 한 router에 몰려 router buffer에 queue되고 있는 경우의 기다리는 delay
    • 제일 예측하기 어려움
    • greedy하게 사용하면 congestion 발생 → collapse
  3. transmission delay
    • router의 routing algorithm에 따라 해당 패킷이 다음에 어디로 가야하는지 알고, 보내는 delay.
    • medium에 집어 넣는 delay라고 보면된다.
    • hop의 개수가 많을수록(store-and-foward에서는), bandwidth가 작을수록, packet 사이즈가 클수록 증가한다.
  4. propagation delay
    • hop(한 라우터에서 다른 라우터까지 걸리는 시간)
    • physical 적인 부분임.

Real Internet Delay

traceroute

1
2
3
4
5
6
7
router.asus.com (111.111.111.111) 2.0ms 3.0ms 1.0ms  
router.asus.com (222.222.222.222) 1.9ms 4.0ms 2.0ms   
// sequential  
  
1.1.1.1 (1.1.1.1) 5.0ms  
2.2.2.2 (2.2.2.2) 6.0ms  
3.3.3.3 (3.3.3.3) 5.5ms // parallel  

실제로 ping 또는 traceroute를 사용하면 hop-by-hop으로 delay를 확인할 수 있다.

Q. 왜 1번째 try에서 1번째보다 2번째가 더 빠른가.

1번째: pc → 1 → pc

2번째 : pc → 1 → 2 → pc 를 따로따로 측정했기 때문에 더 빠를 수 있다.

Ping 과 Traceroute 동작원리

  1. Ping

호스트가 다른 호스트에게 ping을 보내면 해당 호스트는 다시 응답을 보낸다. 이 시간을 계산한다.

  1. Traceroute

TCP/IP 에서는 TTL(time-to-live)값이 0이 되는 순간 에러를 원-호스트에게 보낸다. 따라서 TTL값을 1, 2, 3…으로 늘려나가면서 최종 도착지 (R)에게 요청을 보낸다.

즉, 특정 지점까지 도착하는 요청들의 ping 시간을 측정하면서 각 단계별 걸리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Throughput and Bottleneck

그래서 throughput이 뭔데

  • Throughput은 rate at which bits transferred between sender/receiver를 뜻한다. bandwidth는 어떤 wire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속도이다.
    • 즉, throuput은 순간일 수도, 평균일 수도 있다.
    • 보통 평균 많이 씀

→ 왜 평균을 많이 쓸까?

  • 대체로 throughput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가 많음
  • internet 상황에따라 순간 throughput은 잘 변하기 때문에 평균으로 하는 것이 consistent함

위 그림에서의 평균 throughput은 Rc이다. 수도꼭지를 생각해보자.

→ 가장 minimum bandwidth이 throughput으로 결정된다.


Throughput formula

O — R1 —→ O — R2 —> O : bandwidth

(1) n-byte의 패킷을 보낸다면

총 throuput은 R1이 R2보다 빠르다고 했을 때

\[\frac{n}{\left( \frac{n}{R_1} + \frac{n}{R_2} \right)} = { \frac{R_1 R_2}{R_1 + R_2}}\]

이다.

한편, k개의 패킷을 전송할 때에는

\[\frac{kn}{\left( \frac{R_1}{n} + k \left( \frac{n}{R_2} \right) \right)} \]

이다. R1은 충분히 빠르기 때문에 첫 패킷 송신 1회만 시간이 추가되고, 그 후는 n/R2 가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친다.

즉, R1이 R2보다 많으면 중간 router에서 queue drop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첫번째 컴퓨터가 자중해야한다. 즉, Transport layer 단에서 현재 다음 컴퓨터의 상태를 확인하고, rhythm을 check해야한다. (slow down~)

만약 R1이 R2보다 느리다면?

R1 < R2일 경우에는 n-byte 패킷을 전송하는데에는 위 식과 같지만, k개의 패킷을 보낼때에는 식은 동일하다. 하지만, bottleneck이 되지 않고 packet이 drop될 위험이 더 작다.


실제 네트워크 사용에서의 e2e throughput은 min(Rc, R/10, Rs)이다.

대부분 Rs나 Rc가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R을 아무리 n으로 나눠도 Rs, Rc보다는 크다.

  • Rs: server의 속도는 사실 충분하다. AWS를 봐라.
  • 가운데 있는 저 fiber는 사실상 못바꾼다.
  • Rc: 대용량 파일 다운받는거 아니면 괜찮다.

Encapsulation

각 패킷은 encapsulation이 잘 되어서, 각 단계에 맞는 layer까지만 detatch되었다가 다시 attach된다.


Packet Capturing

보안은 Network의 영역이 사실 아니다.

보안은 Application 영역에서 보통 처리한다. 암호화가 되어있다는 뜻이지.

따라서 Ethernet에서 가져온 정보를 pcap(packet capute)하여 packet analyzer(Wireshark)에 store한다.

그럼 남의 패킷에 담긴 정보를 볼 수 있다!

패킷은 공중에 떠돌아다니기 때문에 마음대로 캡쳐가 가능하다.

wire로 되어있는 LAN선도 마찬가지이다. bus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남의 신호가 나에게도 온다 = 캡쳐가 가능하다.


Internet History

Packet switching

  1. 1961: queueing theory
  2. packet-switching
  3. ARPAnet
  4. ARPAnet with 4 nodes (in America)
    1. ARPAnet public demo
    2. Network Control Protocol
    3. e-mail

이후…

Internetworking

  1. ALOHAnet satelite network (link layer)
  2. Cerf and Khan - architecture for interconnecting network
  3. Ethernet
  4. DECnet, SNA, CNA
  5. switching fixed-length packet
  6. ARPAnet has 200 nodes

Cerf and Khan’s internetworking principles

  • Minimalism, autonomy - no internal change is required to connect networks
  • best effort service model
    • 단순한 일을 하여, 각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르고,
    • 네트워크 속도는 보장할 수 없지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 stateless routers
  • decentralized control

Later…

  • TCP / IP
  • FTP

(여기서 만들어진 애들이 아직도 쓰이는 중. 특히 IP.)

IP는 한번 바꾸려는 운동이 있었는데 너무 core해서 실패함.

  • Web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